2026년 최저시급 얼마일까? 인상 내역과 월급 계산법 총정리

 

2026년을 앞두고 많은 근로자와 고용주들이 최저시급 인상 여부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특히 아르바이트 시급, 주휴수당 포함 시급, 월급 기준이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한 관심이 높습니다. 이 글에서는 2026년 최저시급이 얼마인지, 인상 폭은 어느 정도인지, 그리고 이를 기준으로 월급 및 주휴수당 계산법까지 상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2026년 최저시급 확정 금액은?

2026년 최저임금위원회는 2025년 7월 회의를 통해 2026년도 최저임금을 10,320원으로 의결했습니다. 이는 2025년 최저시급 10,030원보다 290원(2.9%) 인상된 금액입니다.

📌 2026년 최저시급: 10,320원
📌 인상액: +290원 (2.9% 증가)
📌 적용 기간: 2026년 1월 1일 ~ 12월 31일


2026년 최저시급 월급으로 계산하면?

최저시급은 주 40시간 기준 월 209시간 근무를 기준으로 월급이 산정됩니다. 주휴수당이 포함된 기준입니다.

🧮 월 환산급여 = 10,320원 × 209시간 = 2,156,880원

즉, 2026년에는 최저 월급이 약 215만 원으로 인상됩니다.


누구에게 적용되나요?

2026년 최저임금은 모든 업종, 모든 근로자에게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즉, 정규직, 비정규직, 계약직, 아르바이트 등 고용 형태에 상관없이 동일합니다.

단, 일부 **감액적용 대상자(수습 기간 중 일부 요건 충족자 등)**는 예외적으로 최저임금보다 적은 급여가 인정될 수 있습니다.


아르바이트생이 꼭 알아야 할 점

최저시급은 아르바이트생에게 가장 밀접한 기준입니다. 특히 주휴수당을 함께 계산해야 제대로 된 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주 15시간 이상 근무 시 주휴수당 발생

  • 예: 주 5일, 하루 4시간 근무 시 → 주휴수당 포함 주 24시간

  • 2026년 기준 하루 4시간 근무(5일) = 주급 약 203,800원 + 주휴수당 40,760원 → 총 주급 약 244,560원


자영업자·소상공인은 어떤 대비가 필요할까?

최저임금 인상은 사업주 입장에서는 인건비 부담 증가로 이어집니다. 따라서 아래와 같은 지원제도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부 지원제도 예시

  • 두루누리 사회보험 지원사업
    : 10인 미만 사업장, 근로자 평균 월급 260만원 미만 시 최대 90%까지 보험료 지원

  • 일자리 안정자금
    : 최저임금 인상에 따라 소상공인 인건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제도 (예산 여부에 따라 해마다 변동)


최저시급 위반 시 신고 방법

근로자가 최저시급보다 낮은 임금을 받는 경우, 고용노동부에 신고할 수 있습니다.

📌 최저임금 위반은 형사처벌 대상이며, 2년 이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 벌금에 처할 수 있습니다.


2026년 최저임금 인상의 의미

2026년 최저시급 인상은 물가상승률 반영과 생계 보장을 위한 조치입니다. 하지만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의 인건비 부담 증가로 이어질 수 있어 양측의 균형 있는 대응이 필요합니다.

이번 인상은 물가안정과 노동시장 흐름을 고려한 절충안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앞으로도 매년 최저임금위원회를 통해 조정될 예정입니다.


2026년에도 꼭 확인해야 할 최저시급

2026년 최저시급은 10,120원, 월급 기준 약 211만 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근로자와 고용주 모두 최저임금 기준을 정확히 이해하고, 주휴수당 및 월급 계산법을 바탕으로 올바른 급여 산정이 필요합니다.

💡 최저임금은 법적 기준이므로 반드시 지켜야 하며, 위반 시 신고 및 처벌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