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여세 세율 총정리
증여세 세율은 부모 자식 간 재산 이전, 부부 간 증여, 지인 간 증여 등에서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 중요한 세금 기준입니다. 특히 부동산, 현금, 주식 등 다양한 자산을 증여할 때 증여세를 얼마나 내야 하는지 정확히 알아야 불필요한 세금을 줄일 수 있습니다.
증여세란?
증여세는 타인으로부터 무상으로 재산을 받은 경우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과세 대상에는
부동산, 현금, 유가증권, 지식재산권, 회원권
등이 포함됩니다.
-
납세 의무자: 증여를 받은 사람(수증자)
-
과세 시기: 증여받은 날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3개월 이내 신고 및 납부
증여세 세율표
증여세 세율은 누진세 구조로,
증여금액이 커질수록 세율이 높아집니다.
아래 표는 2025년 기준 세율입니다.
과세표준 구간 | 세율 | 누진공제 |
1억 원 이하 | 10% | - |
1억 원 초과 5억 원 이하 | 20% | 1천만 원 |
5억 원 초과 10억 원 이하 | 30% | 6천만 원 |
10억 원 초과 30억 원 이하 | 40% | 1억 6천만 원 |
30억 원 초과 | 50% | 4억 6천만 원 |
증여세 계산 방법 예시
증여세 계산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예시
-
성인 자녀에게 2억 원 증여
-
성인 직계존비속 공제: 5천만 원
-
과세표준 = 2억 – 5천만 = 1억 5천만 원
-
세율: 20%, 누진공제: 1,000만 원
증여세 절세 방법
-
증여 시기 분산
-
10년 단위로 공제금액이 새로 적용되므로, 시기를 나누면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
-
배우자 증여 활용
-
배우자에게는 최대 6억 원까지 비과세 공제가 가능하므로, 고액 자산 이전 시 유리합니다.
-
-
미리 계획된 증여
-
갑작스러운 고액 증여보다 장기적인 자산 이전 계획이 절세에 효과적입니다.
-
자주 묻는 질문(FAQ)
Q. 부모가 매년 조금씩 나눠서 증여하면 세금이 줄어드나요?
A. 네. 증여세는 10년간 합산 과세되므로, 10년마다 한도 내 증여 시 세금을 줄일
수 있습니다.
Q. 미성년 자녀에게 증여 시 세율이 더 높아지나요?
A. 세율 자체는 같지만, 공제 한도가 낮아 과세표준이 커질 수 있습니다.
Q. 해외에 있는 재산도 증여세 대상인가요?
A. 거주자의 경우 전 세계 재산이 과세 대상이며, 비거주자는 국내 재산만
해당됩니다.
마무리
증여세 세율은 금액 구간별로 차등 적용되며, 공제와 누진공제를 활용하면 세금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특히 부동산이나 고액 자산을 이전할 계획이 있다면,
사전 시뮬레이션과 전문가 상담이 필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