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여세 면제한도 총정리

 

증여세는 부모, 배우자, 자녀 등에게 재산을 무상으로 이전할 때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하지만 증여세 면제한도라는 제도가 있어 일정 금액까지는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됩니다.
오늘은 2025년 기준 증여세 면제한도와 계산 방법, 절세 전략까지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증여세란?

증여세는 재산을 무상으로 이전받는 경우, 그 재산의 가치에 따라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증여세 면제한도를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서만 세금이 부과되므로, 한도를 정확히 아는 것이 절세의 핵심입니다.


증여세 면제한도 기본 구조

증여자와의 관계 공제 한도액 (10년간 누계)
배우자 6억 원
직계존속(부모, 조부모 등) 5천만 원 (수증자가 미성년자인 경우 2천만 원)
직계비속(자녀, 손자녀 등) 5천만 원
기타 친족(며느리, 사위 등) 1천만 원
타인 없음

💡 10년 단위 누적 합산: 동일인으로부터 받은 증여액은 10년간 합산하여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5년 전에 부모님께 3천만 원을 증여받았다면, 10년이 채 안 된 시점에서 추가로 3천만 원을 받으면 1천만 원 초과분에 대해 증여세가 부과됩니다.

증여세 면제한도 계산 예시

증여세 과세표준 = (증여금액 – 면제한도)
→ 과세표준이 0 이하이면 세금 없음, 초과하면 세율 적용.

예시

  • 부모가 성인 자녀에게 8천만 원 증여

  • 면제한도: 5천만 원

  • 과세표준: 8천만 원 – 5천만 원 = 3천만 원

  • 증여세율: 10% → 세금 300만 원


증여세 면제한도 절세 팁

  1. 10년 주기 활용
    한 번에 큰 금액을 주기보다 10년 단위로 나눠서 증여하면 세금 부담이 줄어듭니다.

  2. 가족별 분산 증여
    부부가 각각 자녀에게 증여하면 면제한도를 두 배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3. 미성년자 시기 주의
    미성년자 한도는 2천만 원으로 적으니 성인 이후 증여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FAQ)

Q1. 증여세 면제한도는 평생 1번인가요?
→ 아니요. 10년 단위로 반복 적용됩니다.

Q2. 현금이 아닌 부동산도 면제한도가 적용되나요?
→ 네. 현금, 부동산, 주식 등 모든 재산에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Q3. 부모와 조부모가 동시에 증여하면 한도가 따로 적용되나요?
→ 네. 증여자별로 한도가 적용됩니다.


마무리

증여세 면제한도 제도를 잘 활용하면 합법적으로 수천만 원에서 수억 원까지 절세가 가능합니다.
가족 간 재산 이전을 계획할 때는 면제한도, 주기, 신고 기한을 반드시 확인하시고, 필요하면 세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